- 
			
				  2025년 YKAST 과학기술혁신정책 현장간담회 개최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YKAST)은 2025년 7월 21일(월) 대전 기초과학연구원(IBS) 과학문화센터에서 ‘연구소 기반 지역 젊은 과학기술인 유치 전략’을 주제로 제1차 과학기술혁신정책 현장간담회를 개최했다.간담회에서는 과기정통부가 직접 참여해 정부의 제5차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26~’30) 수립 방향을 공유했으며, 대전 지역 연구기관 소속 젊은 과학기술인과 YKAST 회원 등 20여 명이 참여해 인재 유치 및 정착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이어 9월 5일(금)에는 광주 전남대학교 대학본부에서 **‘대학 기반 지역 인재 유치 전략’**을 주제로 제2차 현장간담회가 열렸다. 광주 지역 대학 연구자와 YKAST 회원 11명이 참석해 대학 현장의 인재 확보·정착 어려움과 지역 연계 강화 방안을 중심으로 의견을 나눴다. 이번 두 차례 현장간담회는 YKAST가 추진 중인 ‘젊은 과학기술인의 창의적 아이디어를 활용한 과학기술 혁신정책 아젠다 발굴’ 연구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이 연구는 △선도적 R&D 시스템 제안 △젊은 과학기술인 확보·활용 방안 △과학기술인의 사회적 역할 및 대중과의 소통 강화를 목표로, 실무단 운영·설문조사·자문회의·현장간담회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실질적인 정책 성과를 도출할 예정이다. 2025-09-11 
- 
			
				![YKAST International Conference 2025 개최 [2025. 2. 12.(수) ~ 14(목) / 파라다이스호텔 부산] 썸네일](/data/bbsData/17415843419.png)  YKAST International Conference 2025 개최 [2025. 2. 12.(수) ~ 14(목) / 파라다이스호텔 부산]한국과학기술한림원과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은 2025년 2월 12일(수)부터 14일(금)까지 3일간 부산에서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혁신’을 주제로 ‘YKAST International Conference 2025(이하 YIC 2025)’를 개최했다. 이번 YIC 2025는 다양한 분야의 국내외 젊은 과학자들 간 학문적 교류를 확대하고 실질적인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중요한 계기를 제공하는 것이 개최 취지이다.올해로 세 번째를 맞이한 YIC는 젊은 과학자들의 폭넓은 교류와 경계 없는 협력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기초·응용·의생명 등의 '학술세션'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YKAST 공동포럼', '네트워킹 행사', 해외 영아카데미회원과 대학원생 간 '멘토링 세션', '학부별 간담회' 등이 다채롭게 진행됐다. 이번 행사에는 YKAST 회원 54명과 미국·영국·독일·스웨덴·남아프리카공화국 등 해외 영아카데미 회원 11명, 대학원생 18명 등 총 83명의 젊은 과학자들이 참석했으며, 조선학 과기정통부 과학기술정책국장 등 정부 관계자가 참여하여 현장의 의견을 청취하고 미래 정책 방향을 논의했다. [ 개회사(좌측 상단), 축사(좌측 하단), 단체사진(우측 상단), 과기정통부-YKAST 공동포럼(우측하단) ]행사의 첫째 날에는 기초·응용·의생명 등 3개 학술세션을 시작으로 개회식과 과기정통부-YKAST 공동포럼 등이 열렸다.이번 공동포럼에서는 ’선도형 R&D 전환을 위한 정부 R&D 혁신’ 을 주제로 윤성훈 과기정통부 과학기술정책과 과장의 주제발표와, 이성주 서울대학교 교수를 좌장으로 권춘탁 경희대학교 조교수, 김재경 KAIST 부교수, 박주영 서울대학교 부교수, 이웅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정기훈 서울대학교 부교수 등이 지정토론자로 참여, 제도 개선방안과 정책지원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만찬 퀴즈에 참여하고 있는 UK Young Academy 대표, Muhit 박사 / 2월말로 임기를 마치는 김영근 차세대부장에게 감사패를 전달한 배명진 대표간사와 권순경 간사] 둘째 날에는 학술세션과 함께 대학원생들이 국내외 젊은 과학자들과 교류하고 조언을 얻을 수 있는 특별 세션이 진행되었으며, 오후에는 해운대 일대 역사문화해설사와 동행하는 네트워킹 세션을 통해 참가자들이 학문적 교류를 넘어 친목을 다지기도 했다. [ 학술세션 - 특별세션(좌측 상단), 기초세션(좌측 하단), 의약학세션(우측 상단), 공학세션(우측하단) ]마지막 날에는 YKAST 회원들의 학부별 간담회와 해외영아카데미 회원 및 대학원생이 참여하는 멘토링 세션이 운영되었다.특히 멘토링 세션은 해외 영아카데미 회원들과 국내 대학원생들이 참여하여 학술 강연이 아닌 자유롭고 편안한 대화형식으로 해외 젊은 과학자들의 연구환경과 지원제도, 글로벌 공동연구 경험 등에 대해 정보를 공유하고 실질적인 조언을 주고받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 네트워킹세션(좌측 상단), 정책학부 간담회(좌측 하단), 멘토링세션(우측 상단), 공학부 간담회(우측하단) ] 2025-03-10 
- 
			
				  2025년도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 회원 선출한국과학기술한림원(이하 한림원)이 과학기술 분야에서 탁월한 연구성과를 발표하며 미래 한국과학기술계를 이끌 유망한 젊은 과학자 20인을 2025년도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Young Korean Academy of Science and Technology, 이하 Y-KAST) 회원으로 선출했다.그래프 이론과 조합론 분야의 차세대 수학자인 김재훈 KAIST 교수, '단원자 전기촉매' 연구 분야를 개척하며 전기화학 분야 난제 해결에 앞장서고 있는 최창혁 POSTECH 교수, 응집물질물리학 분야에서 독보적 성과를 도출하고 있는 이성빈 KAIST 교수, 천연 고분자 하이드로젤 연구로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 등에 논문을 발표한 신미경 성균관대 교수 등 이미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연구리더들도 다수 포함됐다.올해 선출된 회원의 평균나이는 만 40.4세로, 경북대와 한국기초과학연구원(IBS) 등 2개 기관에서 첫 Y-KAST 회원을 배출했다.Y-KAST 회원은 만 43세 이하의 젊은 과학자들 중 학문적 성과가 뛰어난 연구자를 선발하며, 특히 박사학위 후 국내에서 독립적 연구자로서 이룬 성과를 중점 평가함으로써 우리나라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할 가능성이 높은 차세대 과학기술리더를 최종 선출한다.한림원은 12월 19일(목) 오후 한림원회관에서 ‘2024 Y-KAST Members’ Day’를 개최하고, 신임 Y-KAST 회원에 대한 회원패 수여 및 연구업적 소개 등 연구자 간 교류을 진행했다. 2017년 2월 24일 출범한 Y-KAST는 우리나라 최초이자 유일한 영아카데미로서 운영되고 있으며, 출범이후 8년 동안 국내외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수행하며 젊은 과학자들의 국제교류 및 정책 활동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2024년 YKAST Members' Day 단체사진] 2024-12-19 
- 
			
				  2024년도 과기정통부-YKAST 공동포럼 4차례 개최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Y-KAST)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2024년 2월부터 11월까지 총 4차례의 공동 포럼을 개최하며 과학기술 정책 아젠다를 논의해왔다. 1. 젊은 과학기술자 육성을 위한 대학의 지원 방안 (2024. 03. 28 / 제주 신화월드) 2. 혁신‧도전형 R&D를 위한 젊은 과학자의 연구환경 구축 (2024. 06. 20 / 더플라자호텔 루비홀) 3. 데이터기반 과학기술 인재정책 고도화 (2024. 09. 27 / 달개비 컨퍼런스하우스) 4. 젊은 과학기술인의 성공적인 해외공동 R&D 지원 방안 (2024. 11. 19 / 엘타워 오페라홀)정책보고서 발간 및 성과 홍보를 위해, 25년 1월과 2월에 두 차례에 걸쳐 추가 포럼이 개최될 예정이다.5차 포럼(주제: 우수한 연구성과를 어떻게 평가하고 보상할 것인가?)은 차세대 리포트 제작 및 원탁토론회와 연계하여 2025년 1월에 진행하며,6차 포럼(주제: 젊은 과학기술인의 중장기 안정적 연구지원 체계 구축)은 폭넓은 회원 참여와 다양한 의견 교류를 목표로 Y-KAST International Conference 행사에서 개최 예정이다. [제1차 공동포럼 - 젊은 과학기술자 육성을 위한 대학의 지원 방안 (2024. 03. 28 / 제주 신화월드)][제2차 포럼 - 혁신‧도전형 R&D를 위한 젊은 과학자의 연구환경 구축 (2024. 06. 20 / 더플라자호텔 루비홀)][제3차 포럼 - 데이터기반 과학기술 인재정책 고도화 (2024. 09. 27 / 달개비 컨퍼런스하우스)] [제4차 포럼 - 젊은 과학기술인의 성공적인 해외공동 R&D 지원 방안 (2024. 11. 19 / 엘타워 오페라홀)] 2024-11-20 
- 
			
				  2024 한‧북유럽 차세대리더 워크숍 개최21일(수) 오후부터 22일(목) 오후까지 스웨덴 북유럽과학기술협력센터(KNTEC) 회의실에서 개최한 이번 행사는 “Young Innovators in Nanotechnology: Pioneering the Future”를 주제로 김영근 차세대부장을 비롯한 권순경(경상국립대) 농수산학부 간사, 윤효재(고려대) 이학부 운영위원, 김소연(서울대), 신종화(KAIST), 이정환(단국대), 현가담(이화여대) 교수가 참여했으며 박희웅 KNTEC 센터장 및 북유럽지역 과학자 7인의 참석한 가운데 개최됐다. 한-북유럽 신진 연구자 간 연구 교류 네트워킹을 구축하고, 미래 공동연구 주제 탐색 및 연구 협력 활성화 제고를 위해 기획된 동 워크숍은 전자 및 소재, 화학 등 나노기술 관련 분야의 다양한 세부 주제를 기반으로 13인의 한-북유럽지역의 신진 연구자들의 발표 및 토론으로 진행되었다. 양측 연구자들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최신 연구 동향을 공유하고, 향후 공동연구 추진 등 세부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참석자 단체 사진@KNTEC] 2024-08-27 
- 
			
				  제4회 한‧스웨덴영아카데미 공동심포지엄 개최‘제4회 한·스웨덴차세대한림원 공동심포지엄’이 지난 8월 21일, 스웨덴왕립한림원에서 양국 영아카데미(Young Academy) 회원 등 총 13인이 참석한 가운데 ‘영아카데미의 역할(The role of young academies)’을 주제로 개최됐다.Y-KAST 대표로는 김영근 차세대 부장을 비롯해 권순경(경상국립대) 농수산학부 간사, 윤효재(고려대) 이학부 운영위원, 김소연(서울대), 신종화(KAIST), 이정환(단국대), 현가담(이화여대) 교수가 참여했으며, 스웨덴 측 대표로는 스웨덴 영아카데미의 부의장인 Gabriel Messori 교수(Uppsala University), Janina Seubert(Karolinska Institute), Jennifer Mack(The Royal Institute of Technology), Juan Rocha(Stockholm Resilience Centre), Linda Andersson Burnett(Uppsala University), Sverker Lundin(CEO of YAS) 등이 참여했다.이번 심포지엄은 학문적 자유, 학제 간 협력, 그리고 영아카데미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어 양 기관의 기조 발표와 참가자 간의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되었다.아울러, 양 기관의 주요 사업 소개에서 Y-KAST는 멘토링 프로그램과 차세대 리포트, 유튜브 채널 운영 등을 설명했으며, 스웨덴영아카데미측은 연구자들과 국회의원들 간의 소통을 촉진하는 리포(Rifo) 프로그램 공동 운영과 매년 여름 스웨덴 청소년들을 위한 과학 캠프인 "아비스코의 연구학교"에 대해 소개했다.[Y-KAST를 소개중인 김영근 차세대부장(고려대) ]['스톡홀름 헌장'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Jennifer Mack 박사(The Royal Institute of Technology) ][Y-KAST 주요 사업을 소개하는 권순경 교수(경상국립대)] [Y-KAST & YAS 대표단]올해로 4회째를 맞이하는 동 심포지엄은 2017년 Y-KAST 설립 이후 꾸준히 교류를 이어온 스웨덴영아카데미와 격년으로 시행중인 주요 국제교류 사업이다.행사의 세부 내용은 스웨덴영아카데미의 홈페이지에서도 확인이 가능하다.스웨덴영아카데미 홈페이지 바로 가기 2024-08-27 
- 
			
				![The 2nd Y-KAST International Conference 개최 [ 2024. 3. 28.(목) ~ 4. 1.(토) / 제주 신화월드] 썸네일](/data/bbsData/17137629189.jpg)  The 2nd Y-KAST International Conference 개최 [ 2024. 3. 28.(목) ~ 4. 1.(토) / 제주 신화월드]한국과학기술한림원(원장 유욱준, 이하 한림원)과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이하 Y-KAST)이 3월 28일(목)부터 3일간 제주도에서 ‘제2회 Y-KAST International Conference(이하 YIC)’를 개최했다.올해로 두 번째를 맞이한 YIC는 젊은 과학자들의 폭넓은 교류와 경계 없는 협력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기초·응용·의생명 등 분야별 학술세션과 정책간담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Y-KAST 공동포럼, 네트워킹 행사, 토론회 등이 다채롭게 진행됐다.행사에는 Y-KAST 회원 61명과 독일·스웨덴·남아프리카공화국 등 해외 영아카데미 회원 5명, 대학원생 9명 등 총 75명의 젊은 과학자들이 참석했으며, 이창윤 과기정통부 제1차관 등 정부관계자가 참여하여 현장의 의견을 청취하고 토론의 자리를 가졌다. [개회식에서 김영근 차세대부장의 개회사(좌측)와 단체사진 촬영(우측)이 이루어졌다.]먼저 첫째 날에는 정부관계자와 함께 젊은 과학자들의 고충 및 과학기술 정책의 개선점, 연구 지원제도 등을 중점 논의했다.이창윤 차관과 Y-KAST 회원들이 참여하는 정책간담회는 '젊은 연구리더 육성 및 연구성과 창출과 연구역량 축적을 위한 제도개선 방안'을 주제로 진행됐고, 이어 '제1차 과기정통부-Y-KAST 공동포럼'이 '젊은 과학기술자 육성을 위한 대학의 연구지원 방안'을 주제로 열렸다.포럼에는 박기범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주제발표에 나서며, 김미현 가천대학교 교수를 좌장으로 이정수 과기정통부 과학기술혁신기반팀장, 권순경 경상국립대학교 교수, 이학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김진우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대학원생 등이 지정토론자로 참여했다. 이어 둘째 날에는 젊은 과학자들의 학술발표와 네트워킹 활동 등이 마련됐다.학술발표는 기초와 응용, 의·생명 등 세 분야로 나누어 그룹발표와 토론을 진행했고, 포스터세션은 참석자 전원이 참여하여 자유롭게 연구내용을 발표하고 질문하며 실질적 연구 협력을 논의했다.학술발표에는 대학원생들도 함께 참여하며 신진 연구자로서 선배 연구자들과 토론하고 조언을 얻는 기회를 가졌다.특히 이번 행사는 제주도가 UNESCO 지정 생물권보전지역임에 착안하여 종이 인쇄물 대신 콘퍼런스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고, 네트워크 활동 역시 환경보호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제주올레 그린리더‘들과 함께 ’사계리 해변 플로깅(Plogging: 조깅을 하며 쓰레기를 줍는 운동)‘으로 진행했다. [학술세션에서 국내외 젊은 과학자들이 자신의 연구분야를 발표하고 있다.] 세션에서는 참석자 전원이 참여하여 편안하게 서로의 연구분야에 대해 대화하고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2024-04-22 
- 
			
				  류광준 과기정통부 혁신본부장, Y-KAST 회원과의 간담회 참석류광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이 지난 2월 26일 취임 후 첫 행보로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Y-KAST) 회원들과 R&D 투자, 제도혁신, 과학인재 정책, 젊은 과학자 육성 방안 등을 주제로 간담회를 진행했다.간담회에는 류 본부장과 이재흔 과학기술정책과장, 이강우 생명기초조정과장, 정연웅 미래인재양성과장, 이정수 과학기술정책과 과학기술혁신기반팀장, 윤성훈 성과평가정책국 연구제도혁신과장 등 과기정통부 관계자와 유욱준 원장, 이창희 총괄부원장, 김영근 차세대부장 등 한림원 운영진을 비롯하여 선정윤 서울대 교수, 윤효재 고려대 교수, 김상우 연세대 교수, 박현우 서울대 교수, 이현주 KAIST 교수, 이성주 서울대 교수, 권순경 경상국립대 교수, 배명진 KAIST 교수, 김영환 STEPI 연구위원, 유경록 서울대 교수, 임태규 세종대 교수, 홍석창 서울대 교수 등 Y-KAST 회원들이 참여했다.간담회에서 과기정통부는 R&D 투자·제도 혁신방안과 함께 논문, 특허 분석 기반 국가전략기술 글로벌 인력지도 마련, 연구자정보시스템·고용보험DB 연계를 통한 인력 공급 분석 등 ‘데이터 기반 인재정책 고도화’ 방안을 공유했다.또 Y-KAST 회원들은 인구절벽 시대 젊은 과학기술인 육성 방안, 연구중심 대학에 걸맞은 대학 연구지원 방식의 전환에 관한 연구계획에 대해 발표했으며, 연구 현장의 다양한 목소리를 전달하고 현장의 애로사항에 귀 기울여 정책방향에 반영해 줄것을 요청했다.과기정통부는 향후 1년간 Y-KAST의 젊은 과학기술인 확보·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활동을 지원하고, 주기적인 과기정통부·Y-KAST 공동포럼 개최를 통해 의견을 교류할 계획이다. 연구를 통해 구축된 젊은 과학기술인 네트워크는 향후 과학기술 혁신정책 자문에도 활용할 예정이다.류광준 본부장은 “앞으로 R&D 예산 못지않게 중요하게 고민해야 하는 화두는 인구절벽 시대에서 우수한 과학기술인재를 육성하고 확보하는 것”이라며 “우리나라 우수 인재뿐 아니라 해외 우수인재들에게도 우리 연구 환경이 매력적이 되도록 업그레이드하는 투자와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2024-03-07 
- 
			
				  2023 Y-KAST Members' Day 개최'2023년 Y-KAST Members' Day' 단체사진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이하 Y-KAST)은 2023. 12. 13.(수) 오후 4시, 한국과학기술한림원회관 대강당에서 '2023년 Y-KAST Members' Day'를 온·오프라인으로 동시 개최했다.현장에는 조성경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 유욱준 원장, 김영근 차세대부장, 이창희 총괄부원장을 비롯한 한림원 운영진과 신입 차세대회원 24인 및 동문회원 등 40여명이 참석했다.'2023년 Y-KAST Members' Day' 중 신입 차세대회원의 연구분야 소개이번 행사는 'Y-KAST의 역할과 활동 소개(김영근 차세대부장)' - '회원심사 결과보고(이창희 총괄부원장)' - '[정책학부-농수산학부-의학학부-이학부-공학부 순] 회원패 수여 및 신입 차세대회원의 소감과 연구분야 소개(신입 차세대회원 24인)' - '2024년 차세대동문회원소개 및 소감(백정민 동문회원)' 순으로 진행됐다.한편 조성경 제1차관은 국내 유일의 영아카데미인 Y-KAST 출범 및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권순경 경상국립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에 대한 장관 표창을 수여했다.[행사 전체보기] 2024-02-01 
- 
			
				제3회 한국과학기자협회-YKAST 포럼 개최한국과학기자협회(회장 유용하, 이하 협회)와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이하 Y-KAST)은 2023. 11. 2.(목) 오전 11시, 한국과학기술한림원회관에서 ‘우주 개척을 위한 대한민국 기술개발의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제3회 한국과학기자협회-YKAST 포럼’을 개최했다.한국과학기자협회-YKAST 포럼은 우수한 젊은 과학자와 과학전문 언론인이 최신 과학기술 연구현황과 이슈에 대해 함께 논의하기 위해 기획된 행사다. 이번 3회 포럼에는 협회의 유용하 회장(서울신문), 김만기 이사(파이낸셜뉴스), 김지영 이사(대덕넷), 조승한 이사(연합뉴스) 등을 포함 20여 명의 과학기자들이 현장을 찾았으며, 유욱준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원장, 이창희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총괄부원장, 김영근 Y-KAST 차세대부장, 이성주 서울대 교수, 안준모 서울대 교수, 윤효재 고려대 교수, 권순경 경상국립대 교수, 김상우 연세대 교수 등 한림원 관계자 및 Y-KAST 회원 20여 명도 참여하여 서로 간 활발한 교류의 시간을 진행했다. 황호성 서울대 교수(왼쪽), 김명진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오른쪽)포럼의 주제발표에는 황호성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교수와 김명진 한국천문연구원 우주위험감시센터 책임연구원 등이 참여했다.구상선단부터 우주론까지 다양한 분야를 연구하는 젊은 천문학자 황호성 교수는 ‘한국형 우주 망원경 개발 현황 및 전망’을 주제로 각국에서 운영 및 개발 계획 중인 우주 망원경의 성능과 특징을 비교하고, 국내 천문학자의 30%가 참여한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한국형 우주망원경의 개발 방향 등을 발표했다.소행성 관측 및 측광학적 특성 분석 연구를 선도하고 있는 김명진 책임연구원은 ‘소행성 탐사 임무 현황 및 과학 목표’를 주제로 국내외 소행성 탐사선의 역사와 임무를 설명하고, 소행성 연구 목적과 필요성, 의의, 소행성 탐사 망원경 계획 등을 소개했다.이어 종합토의 시간에는 양 기관 회원들이 과학기술 전반에 관한 주요 현안과 이슈에 대해 자유롭게 논의했다. 2024-02-01